05_인터랙션 디자인의 도구_다뤄야 할 도구 소프트웨어를 쓰기전에 먼저 종이나 화이트 보드위에 생각하고 기획할 시간이 있어야 한다. 뭘 디자인 할지 디자인해라 다이어그램 소프트웨어 MS의 비지오나 옴미그래플이 표준이며, 어도비 인디자인도 쓰인다. 드로잉이나 일러스트레이션 소프트웨어 실제로 만들어질 서비스/제품의 현실적인 모습을 그려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스토리보드를 만들거나 프로토타입을 그려보는데도 사용된다.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포토샵, 코렐드로우 프로토타입 소프트웨어 주로 디지털 제품의 프로토타입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어도비 플래시, 솔리드웍스, 비비에디트, 드림위버... 프리젠테이션 소프트웨어 파워포인트, 키노트, 플래시, 애크로뱃 변환 소프트웨어 애크로뱃 출처 : (에이콘 UX 프로페셔널 시리즈 1-01) 인터랙션 디자인: 더 나은 사.. 더보기 05_인터랙션 디자인의 도구 프로젝트를 정의하고 이해관계자와 인터뷰도 하고 디자인 리서치도 진행한 후에는 모델, 다이어그램과 문서작업이 이어진다. 디자이너는 모델과 다이어그램을 사용해서 전단계의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얻은 지식을 시각화하고 분석하면서 자신들의 기술과 지식, 아이디어를 드러내 보인다. 프로젝트가 잘 진행되기에 충분한양의 문서를 작성해야 한다. 인터랙션 디자이너가 모델과 다이어그램 작업을 하는 유일한 이유는 프로젝트에 대해 지식을 나누고 비전을 공유하기 위함이다. 리서치 모델은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 보여준다. 가상의 인물 유형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페르소나를 설정한다. 유스케이스와 작업목록은 제품/서비스가 완수해야 할 목표를 명확히 하는 데 이용한다. 무드보드, 시나리오, 스토리보드,.. 더보기 04_디자인 리서치와 브레인스토밍_브레인 스토밍:"여기서 기적이 일어난다면..." 리서치가 끝나고 디자인적인 함의들이 정리되었는데 갑자기 혼란이 닥치는 시기가 있다. 리서치와 인터뷰에서 이미 해결책이 보이기 시작하기도 하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뭘 해야 할지 도무지 단서가 없다. 이럴때 제일 좋은 방법은 일단 문서 작업을 하면서 해결책이 떠오르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해결책이 떠오르면 브레인 스토밍에 집중할 때다. 브레인 스토밍을 할 때 디자이너들은 리서치의 결과물이나 문제점을 정의한 디자인 제안서 같은 문서를 들고, 벽에 붙여뒀던 메모도 모두 모아서 준비한다. 묙표정의서도 당연히 참조용으로 필요하다. 특히 스케치하기 위한 도구가 중요하다. 처음 10분은 워밍업 브레인 스토밍의 시간을 정한다. 보통 한 번에 두시간을 넘지 않게 한다. 이 시간 동안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와 그 아이디어의 변형.. 더보기 04_디자인 리서치와 브레인스토밍_디자인적 함의 리서치 데이터는 디자이너가 쓸 수 있는 정보로 정제됐을 때만 유용하다. 디자이너는 데이터들에 형태와 모양을 부여해야한다. 데이터를 디자인해야한다. 처음해야 할 일은 모든 데이터를 어떤 정연한 형태로 정렬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의미 있는 방식으로 모으고 여기에 형태를 부여한 후에야 데이터를 가지고 생각을 해볼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데이터의 개념적인 모델을 만드는 것인데 사실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늘어 놓더라도 디자이너가 그 데이터 안에 들어 있는 디자인적인 함의를 그려낼수만 있다면 족하다. 디자이너들이 데이터로부터 뽑아낸 어떤 디자인적인 함의는 아주 간단할지도 모른다. 프로세스가 진행됨에 따라 이런 디자인적 함의들은 디자인이 어떻게 되어가는지에 대해서 좋은 점검 항목이 되어준다. 출처 : (에이콘 U.. 더보기 04_디자인 리서치와 브레인스토밍_리서치 방법 크게 관찰, 인터뷰, 활동이라는 세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는 대상자들에게 직접 만들게 한 결과물이나 활동 기록이 포함된다. 관찰 모든 리서치 방법 중 가장 쉽고도 제일 효과적인 방법은 사람들이 무얼 하는지 관찰하는 것이다. 구경 : 무슨일이 벌어지는지 눈에 띄지않게 관찰한다. 추적 : 대상자들이 고유한 행동을 하는 것을 따라다닌다. 어떤일이 잇었고 어떤 말들이 오갔는지 녹화하라. 탐문 : 대상자의 활동 장소에 가서 그 행동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잠입 : 사람들에게 알리지 않고 직접 인터랙션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관찰한다. 소비자인척 하고 서비스를 직접 이용해볼 수 있다. 관찰을 하려면 눈에 띄지 않는 차림을 한다. 카메라폰은 공공장소에서 눈에 띄지 않고 사진을 찍는데 아주 유용하다. 하지만 ..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