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_5. 마케팅 디자인 (MARKETING DESIGN)
*** 사용 계기 (Trigger of Use) ***
-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사용하게 되는 기회를 갖는것
- 사용자 경험이 시작되는 기점
- 사용계기와 관련된 니즈가 잠재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자극할 수 있는 요소가 제공되어야사용계기가 유발됨
- 가장 중요한 자극 요소는 서비스 내용(contents) 또는 제품(product)
-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의해 자극여부가 결정됨
- 우선 사용자의 주의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시각적 자극이 필요
- 시각적 요소는 차별적 이점을(USP:unique selling points)를 담고 있어야함
- 차별적 이점은 이성적 동기를 이끌어 낼수 있도록 제공가치 위주로 기술되어야함 (ex:장황한 문구보다는 간결한 문구)
- 자극요소를 보고 읽게 만들었다면 다음은 행동하게 만드는 요소를 제공 (클릭유도요소 - call to action)
- 클릭을 유도하는 컨트롤 버튼을 액션버튼이라함(검색버튼, 구매버튼...)
- 심리적 작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액션 버튼은 전략적으로 디자인 되어야함
- 액션버튼의 디자인은 판독성(legibility)과 행위유도성(affordance)이 고려되야함
- 시인성(먼거리에서도 잘 볼수 있는 속성)은 크기와 색상이 주요 변수이며 충분히 크고 강렬한 색상일 수록 판독성이 높아짐
- 행위유도성(누르고 싶은 느낌이 들게하는 속성)은 형태와 효과가 주요 변수
- 버튼처럼 디자인 되어야하며 실재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입체감을 주야야한다.
벤치마킹
http://30boxes.com
- 차별적 이점(USP)을 간결한 문고로 기술
- 차별적 이점 바로 다음 액션 버튼을 두어 이성적 동기가 곧바로 행동으로 연결되도록 유도
http://getbugjuice.com/
- 큰 액션버튼을 제공해 서비스 참여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
관련이론
AIDMA
- 심리학적인 광고기법으로 광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법칙으로 알려져있음
- 소비자의 주목(attention)을 끌어, 상품에 대한 흥미(interest)를 갖게하고, 소비자의 니즈를 자극시켜(desire), 소비자가 상품을 인식하고 기억하게 하여(memory), 소비자가 구매행동(action)을 하도록한다
출처: 웹2.0기획과 디자인(노주환)
*** 사용 계기 (Trigger of Use) ***
-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사용하게 되는 기회를 갖는것
- 사용자 경험이 시작되는 기점
- 사용계기와 관련된 니즈가 잠재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자극할 수 있는 요소가 제공되어야사용계기가 유발됨
- 가장 중요한 자극 요소는 서비스 내용(contents) 또는 제품(product)
-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의해 자극여부가 결정됨
- 우선 사용자의 주의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시각적 자극이 필요
- 시각적 요소는 차별적 이점을(USP:unique selling points)를 담고 있어야함
- 차별적 이점은 이성적 동기를 이끌어 낼수 있도록 제공가치 위주로 기술되어야함 (ex:장황한 문구보다는 간결한 문구)
- 자극요소를 보고 읽게 만들었다면 다음은 행동하게 만드는 요소를 제공 (클릭유도요소 - call to action)
- 클릭을 유도하는 컨트롤 버튼을 액션버튼이라함(검색버튼, 구매버튼...)
- 심리적 작용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액션 버튼은 전략적으로 디자인 되어야함
- 액션버튼의 디자인은 판독성(legibility)과 행위유도성(affordance)이 고려되야함
- 시인성(먼거리에서도 잘 볼수 있는 속성)은 크기와 색상이 주요 변수이며 충분히 크고 강렬한 색상일 수록 판독성이 높아짐
- 행위유도성(누르고 싶은 느낌이 들게하는 속성)은 형태와 효과가 주요 변수
- 버튼처럼 디자인 되어야하며 실재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입체감을 주야야한다.
벤치마킹
http://30boxes.com
- 차별적 이점(USP)을 간결한 문고로 기술
- 차별적 이점 바로 다음 액션 버튼을 두어 이성적 동기가 곧바로 행동으로 연결되도록 유도
http://getbugjuice.com/
- 큰 액션버튼을 제공해 서비스 참여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
관련이론
AIDMA
- 심리학적인 광고기법으로 광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본법칙으로 알려져있음
- 소비자의 주목(attention)을 끌어, 상품에 대한 흥미(interest)를 갖게하고, 소비자의 니즈를 자극시켜(desire), 소비자가 상품을 인식하고 기억하게 하여(memory), 소비자가 구매행동(action)을 하도록한다
출처: 웹2.0기획과 디자인(노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