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면주기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 돌 미만의 아이들은 수면 주기에 따라 잠자기와 깨어있기를 하루에 5~6회 정도 반복한다. 젖을 먹이고 난 다음이나 한밤중이라고 하더라도 깨어 있는 수면리듬인 경우라면 아무리 재워도 잠을 자지 않는다.
2. 잠자리 환경이 맞지 않다 | 집안 곳곳에서 소음이 들리거나 불이 환하게 켜져 있으면 잠을 자지 못하고 잠투정을 한다. 주변 분위기를 차분하게 만들어 주자.
3. 분리불안 증세 때문이다 | 불안감, 무서움이나 엄마와 떨어지는 것에 대한 분리불안도 잠에 쉽게 들지 못하고 잠투정이 많을 수 있는 원인이다. 아이가 불안감을 느끼는 요소를 찾아 없애야 한다.
안고 있다가 내려놓기만 하면 끊임없이 울고 보채고 짜증까지 부린다. 잠투정이 심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아이 자신도 이유를 잘 몰라 화를 내는 것이다. 돌 이전의 아이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행동이다.
1. 조용하고 부드러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 분위기를 조용하게 하고 조용한 음악을 들려주는 등 엄마가 자장가를 불러주자. 자궁에서의 기억을 되살리면서 편안하게 잠들 수 있게 해준다. 2. 목욕을 시킨다 | 잠자기 전에 긴장이 풀리도록 자기 전에 가벼운 목욕을 시킨다. 아이가 좋아하는 부드러운 인형을 줘 불안을 느끼지 않고 자연스럽게 잘 수 있게 해준다.
한 시간에 한 번씩 잠에서 깨어 엄마를 찾는다. 30분 정도 놀다가 다시 잠을 자는 등 깊은 잠을 자지 못한다.
1. 습관과 절차를 훈련시킨다 | 유아기부터 몸에 닿는 자극이 아닌 어떤 습관과 절차를 통해 잠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손발을 씻거나 세수하기, 이 닦기, 잠옷 갈아입기, 인사하기, 책읽기, 기도하기 등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하는 습관을 파악하고 적절하게 훈련시킨다. 2. 잠들기 전에 과식하지 않는다 | 잠들기 전에 과식을 하면 깊은 수면을 방해한다. 규칙적인 생활을 위해 정해진 시간에 먹이는 게 좋다.

모유나 분유를 먹으면서 잠을 자는 아이들이 많다. 문제는 밤에 자다가도 우유를 찾는다는 것. 수면을 방해하고 치아를 손상시키므로 고쳐야 할 잠버릇이다.
1. 조명을 어둡게 하고 조금씩 양을 줄여나간다 | 야간이나 새벽에 수유를 하게 되면 조명을 어둡게 하고 조금만 먹이도록 한다. 먹는 동안 잠이 들면 살짝 깨워서 바로 잠들지 않게 한다. 2. 수면일기로 수면리듬을 파악한다 | 며칠 동안 아이의 잠자는 시간과 수유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수면일기를 쓰고 아이가 자기 전에 배를 부르게 한다.

걷기 시작하는 돌 이후부터 나타나는 버릇으로 한밤중에 깨어나서 부모 없이는 다시 잠자리에 들지 않고 돌아다닌다.
1. 아이 방으로 되돌려 보낸다 | 아이가 엄마의 침실로 밤중에 온다면 말없이 아이 방으로 되돌려 보낸다. 어떤 말 도 하지 않고 방으로 보내면밤중에 엄마 방에 와도 재미가 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2. 자기 전에 아이에게 자극을 주지 않는다 | 잠자기 1시간 전에는 TV나 비디오 같이 흥분하거나 자극될 만한 것은 보이지 말아야 한다. 몸을 이용해 과격한 놀이를 하거나 장난치는 것도 삼가야 한다.

밤이 되면 생기가 넘치는 스타일. 잠자리에 들지 않고 계속 돌아다니려고 하는 등 잠을 자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
1. 규칙적으로 생활하게 한다 | 모니터의 불빛이 햇빛과 유사하여 신체를 각성시킬 수 있으므로 잠자리 시간이 다가오면 컴퓨터를 끈다. 주말에도 규칙적인 스케줄에 따라 잠들도록 한다. 2. 가급적 낮잠은 재우지 않는다 | 1세 미만의 영아는 야간 수면시간 이외에 아침, 점심을 먹은 후에 잠을 자지만 3세 정도가 되면 낮잠을 자지 않아도 된다. 가급적 낮잠을 재우는 것은 피한다. 아이들의 방에 텔레비전을 놓거나 잠자리 시간에 보지 않도록 한다. 침대에서는 잠과 관련된 일만 하도록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신체에 혼돈을 줄 수 있다.
출처 : [베스트베이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