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젯 썸네일형 리스트형 06_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기초_컨트롤과 위젯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과 디바이스는 어느정도 시각적인 컨트롤로서 제품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컨트롤은 해당 제품이 어떤 기능을 지니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어포던스와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파워를 갖고있다. 스위치 : 켜기와 끄기라는 두 가지 상태로 동작하며 바뀌기 전에는 그 상태를 유지한다. 버튼 : 모든 인터페이스에서 어디에서나 사용되고 있다. 버튼은 기본적으로 누르거나 클릭해서 동작하는 도구를 말한다. 눌린 채로 멈춰 있을 수도 있고, 이를 다시 돌리려면 한 번 더 누를 필요가 있다. 혹은 자동으로 제자리로 돌아오기도 한다. 버튼은 모드를 바꾸는 것에서부터 다양한 행동의 범위에 사용된다. 다이얼 : 연속적인 수치 중 한 지점을 선택한다거나 다양한 세팅이나 모드 중 하나를 산택하는 등 버튼보다 더 복잡.. 더보기 PART_2_10. 인터페이스 디자인 (INTERFACE DESIGN) PART_2. 인터페이스 디자인 (INTERFACE DESIGN) *** PIP 인터페이스 (Picture-in-Picture Interface) *** - 메인화면과 별도의 서브화면을 동시에 제공하는 화면 구조 ( ex. TV - 화면속의 화면) - 동시에 여러가지 과업을 시도하려는 욕구 - 윈도우의 멀티테스킹(multi-tasking), 듀얼 모니터의 사용은 동시에 여러가지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해결책 - 아이프레임이나 독립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를 보여주는 플래시나 위젯도 일종의 PIP 인터페이스로 볼 수 있음 -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독립성을 갖는게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자체 정보에대한 제어기능을 스스로 갖추어야하며, 이를 위해 컨트롤바 또는 브라우져를 별도로 갖추어야 함 - 서브화면이라는 점.. 더보기 PART_2_3. 인터페이스 디자인 (INTERFACE DESIGN) PART_2. 인터페이스 디자인 (INTERFACE DESIGN) *** 웹의 위젯화 (Widgetization of The Web) *** - 특정정보만을 보여주거나 특정기능만을 수행하는 작은 어플리케이션 - 웹사이트를 방문하지않아도 정보나 기능을 제공받을수 있음 - PC에 설치되는 데스크톱위젯(desktop widget)과 제휴된 웹사이트에 설치되는 웹톱 위젯(webtop widget)으로 구분됨 - 사용자 컴퓨팅 환경을 고려해 가벼운 프로그래밍모델(lightweight programming model)을 지향 - 설치기반의 프로그램이므로 무거우면 사용자들에게 외면당함 -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를 접속하기위해서는 URL입력, 북마크이용, 포털사이트 경유 중 한가지를 선택해야하지만 사용자는 기억력이 낮.. 더보기 PART_2_2. 인터페이스 디자인 (INTERFACE DESIGN) PART_2. 인터페이스 디자인 (INTERFACE DESIGN) *** 웹의 위젯화 (Widgetization of The Web) *** - 특정정보만을 보여주거나 특정기능만을 수행하는 작은 어플리케이션 - 웹사이트를 방문하지않아도 정보나 기능을 제공받을수 있음 - PC에 설치되는 데스크톱위젯(desktop widget)과 제휴된 웹사이트에 설치되는 웹톱 위젯(webtop widget)으로 구분됨 - 사용자 컴퓨팅 환경을 고려해 가벼운 프로그래밍모델(lightweight programming model)을 지향 - 설치기반의 프로그램이므로 무거우면 사용자들에게 외면당함 -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를 접속하기위해서는 URL입력, 북마크이용, 포털사이트 경유 중 한가지를 선택해야하지만 사용자는 기억력이 낮.. 더보기 PART_1_19. 인포메이션 디자인 (INFORMATION DESIGN) PART_1. 인포메이션 디자인 (INFORMATION DESIGN) *** 최근 읽은 사람들 위젯 (Recent Readers Widget) *** - 네트워크(network)의 연결점(node)이 점점 다양해져 연결점이 주제중심에서 사람중심으로 이동하고있음 - 콘텐츠 창출(contents creation) 측면에서 필자(writer)가 중요하지만 콘텐츠 가공(contents modification)측면에서는 독자(reader)가 중요 = 독자의 위상이 필자에 필적 할만큼 중요 - 최근 읽은 사람들 위젯을 통해 특정주제를 읽은 사람들의 프로파일 페이지(profile page)로 이동하면 그사람의 사이트와 블로그, 친구들, 가입 커뮤니티, 소개, 최근 코멘트 등 다양한 정보를 볼수 있음 - 디자인에서 중.. 더보기 이전 1 다음